영화 한산: 용의 출현 리뷰 – 신념은 물러서지 않는다
← 다음 리뷰: 노량 - 죽음을 넘어선 마지막 전투 | 명량 리뷰 보기 →
《한산: 용의 출현》은 이순신 3부작의 서막을 여는 영화로, 《명량》 이전의 젊은 장수 이순신의 전략과 결단, 그리고 신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담은 작품이다.
무게감보다는 섬세한 전략과 군사적 판단, 그리고 지휘관의 고독과 책임이 강하게 드러나는 전쟁 영화다.
첫 등장의 무게, 그리고 다가올 운명을 아는 자의 눈빛
1592년 임진왜란. 조선 수군은 일본군의 침공 앞에 전열을 정비할 틈도 없이 무너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등장한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전략과 냉철함, 그리고 백성을 향한 의지를 품은 장군이었다.
“전쟁은 병력만으로 이기는 것이 아닙니다. 물길과 바람, 그리고 사람을 이겨야 합니다.”
이순신은 그렇게 말하며, 결코 수적 열세에 지지 않는다.
그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적을 유인하고, 조류를 읽고, 지형을 활용해 마침내 ‘학익진’이라는 전술로 역사의 방향을 바꾼다.
박해일의 이순신 – 전략가이자 품격 있는 리더
《한산》에서 박해일이 연기한 이순신은 젊고 날카로운 판단력을 지닌 인물이다.
강한 카리스마보다는 이성과 품격, 그리고 부드럽지만 단호한 결단력을 보여준다.
그는 불안해하는 병사들을 달래고, 지휘관들 사이의 균열을 통합하며, 그 모든 혼란 속에서도 백성을 위한 싸움을 결코 잊지 않는다.
그 눈빛에는 ‘다가올 운명을 아는 자’의 고독이 담겨 있다.
이순신은 단지 현재의 전투가 아닌, 앞으로도 반복될 전쟁의 흐름을 읽고 있었다.
와키자카 – 냉철하고 집요한 적장
병사들을 함정에 빠뜨리고, 기만과 속임수를 거리낌 없이 구사하며, 냉정하게 승리를 추구하는 와키자카. 변요한이 연기한 이 인물은 단순한 악역이 아닌, 이순신의 전략과 치열하게 맞서는 존재로 묘사된다.
그의 대사, “조선을 꺾는 건, 머리입니다.” 는 이 전투가 단순히 병력의 싸움이 아닌, ‘지휘관들의 두뇌 싸움’임을 보여준다.
한산도 해전 – 한국 영화 사상 가장 완벽한 수중 전략 묘사
《한산》의 해상 전투는 압도적인 규모보다, 정교한 전술과 군 진형의 예술적 구성으로 주목받는다.
학익진은 단순한 형세가 아니다. 그 안에는 유인과 포위, 집중 사격의 논리가 들어 있다.
배들이 펼쳐지고, 수면 위에서 포탄이 날아가는 순간, 관객은 그 전장에 함께 서 있는 느낌을 받는다.
음향과 음악, 카메라워크까지 섬세하게 연출되어 긴장감은 있지만 과장은 없다. 그 ‘절제미’가 《한산》의 가장 큰 무기다.
명대사 모음
- “지금 싸우지 않으면, 앞으로 더 많은 백성이 죽게 될 것이다.”
- “물은 깊고, 적은 빠르다. 그러나 두려워하면 모든 것이 끝난다.”
- “바다는 단순하지 않다. 조류도, 바람도, 사람도.”
이순신 3부작의 시작 – 조용하지만 날카로운 울림
《한산》은 화려한 결투 대신, 지휘관의 책임과 병사들의 두려움,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용기를 그린다.
《명량》이 피와 불의 전장이라면, 《한산》은 머리로 싸우는 전장이다. 조선 수군이 처음으로 ‘이길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된 전투. 그 시작이 바로 한산이다.
총평 : 준비된 영웅, 시작된 전설
이순신 장군은 명량에서 영웅이 된 것이 아니다. 그는 이미, 한산에서부터 전설로 향하고 있었다.
《한산》은 그의 이야기의 서막을 지루하지 않게,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낸다.
전쟁의 미학, 전략의 묘미, 사람과 사람의 신뢰를 보여준 영화. 이제, 그 전설은 《명량》과 《노량》으로 완성된다.